Sparkfun's EagleCad tutorial에 소개된 회로도를 기반으로 작성했으며 아래의 기능들이 추가 되었습니다.
- RX/TX LED
- pinheader for 3.3V out
- use only one smd part (FT232RL)
- single side (and no jumping wire!)
네! 물론 다림질 에칭 PCB용으로 만든 것 입니다. 완성품의 사진을 보시죠.
무턱대고 만들었던 시리얼 변환 보드(왼쪽)에 비해 크기도 작고 부품도 예쁘게 배치 되었습니다.
5V, GND, RX, TX 케이블은 구형 PC케이스에서 떼어넨 USB? 케이블을 사용했습니다. 딱이야!
단면 기판이므로 FT232RL은 밑 부분에 있습니다.
윈도에서 사용하려면 FTDI 윈도용 드라이버를 설치 하시면 되고, 우분투에서는, 드라이버 따로 설치할 것 없이, 그냥 잡힙니다. 척! 하고 잡히는 모습을 보니 믿음이 무럭무럭 생기네요.
Arduino S/W에서 Tools->Serial Port 메뉴를 선택해 보면 추가된 포트가 보이고 시리얼 포트와 똑같이 동작합니다.
이게 꼭 필요했던건 아니지만... 꼭 필요해서 지르는건 아니잖아요. 호호호...
전 FT232RL 로 만능기판에 덕지덕지 연결하여 만들다 승질 완전히 버리고 때려 치운적이 있는데, 이렇게 깔끔한 방법이 있었네요~ ^^
답글삭제-한창 자작 AVR 에 빠져있는데요... 이 FTDI 칩이 MAX232 IC 와 어떻게 차이가 있는 걸까요???MAX232 칩으로 통신을 시도하는데... 성격버리겠더라구요.. @,,@
답글삭제HeliGuru 님/ SMD는 만능기판에 시도도 못 하겠더라구요. 이렇게 에칭기판에 하면...그래도 성격 버리는건 똑같습니다. -_-; 저도 칩 두개 문데먹고, 태워먹고 나서야 성공 했습니다. 결론적으로는 부품 값만 시제품보다 더 드는 뻘짓을 또 했습니다. ㅋ
답글삭제이맛에 DIY!! 그래도 이제 SMD는 손으로 땜 안할거에요.
유희범 님/ 시리얼 프로토콜은 AVR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MAX232칩은 전압변환 (PC:12V - AVR:5V)를 위한 칩 입니다. FT232RL은 USB를 이용한 시리얼 칩으로 5V세상에서(TTL) 동작하니까 바로 AVR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.
답글삭제따라서, FT232RL로 USB to Serial 케이블같은걸 만드려면 (PC:12V-FT232RL:5V)를 변환하기 위해서 MAX232칩이 또 필요하게 되는거죠.
MAX232칩의 대안으로는 HeliGuru님이 정리하셨던 TR을 사용한 전압변환 회로를 만들어서 사용하셔도 됩니다. 다음 링크
http://heliguru.dyndns.org:8080/blog/?p=164
단, 그렇게 한다고 성격버리지 않는다는 장담은 못 드려요 :)
지금 구성하는 보드가 어떵게 되있냐 하면 (PIC18F452 침 놓은 기판-> MAX232 -> 시중에 파는 USB-Serial 컨버터) 식으로 구성을 햇더랬죠.. 같은 방식으로 구성에 성공한 예가 있어서 따라했는데...... 여전히 부품만 태워먹게되네요... 뭐가 문제인지.... 여전히 MAX가 의뭉스럽네요.. 건투를 빌어주세요......
답글삭제덫붙여서... 결과적으로 FT232RL이 재가 쓰고있는 USB-Serial 컨버터(DVI-VGA컨버터 축소판같이 생김)와 같은 역활을 한다고 볼수 있는건가요???
답글삭제안쓰는 공유기를 가지고 놀아 볼까하는 참에 여기까지 검색으로 찾아왔습니다.
답글삭제저항, 비드등 .. 어떤것들을 사용하셨는지 부품의 스펙을 좀 알 수 있겠습니까? 당장이라도 부품을 구입해서 무작정 따라해보고 싶군요.
신토 님/ 비드는 저항값이 제일 낮은 녀석으로 골랐고 (그렇게 고르는게 맞는지는 잘 모르겠어요. 그냥 감으로), LED 저항은 300~1k 옴 사이에서 선택하시면 됩니다. LED의 밝기에만 영향이 있어요.
답글삭제답변 감사합니다.
답글삭제비드와 엘이디는....그렇군요..
많은 흥미로운 포스팅 덕분에 자주 들러보게 될것 같습니다.
수아파파님 검색하다가 우연히 수아파파님 블로그를 알게되어.. 아두이노에 점점 빠져들고 있는데요^^
답글삭제제가 S3V3를 만들었는데 저희집 컴퓨터에는 페러럴포트나 시리얼포트가 없네요ㅜㅜ..
위 작품 USB TO SERIAL을 만들면 S3V3의 시리얼포트로 연결해서 USB를 시리얼 포트로 쓸 수 있는건가요?
그렇다면 S3V3 어느 부분에 저 4핀을 연결해야되나요? 제가 완전 초보라서..ㅜㅜ 설명 좀 부탁드릴게요.
검색해봐도 아두이노 미니나 이런거로 연결되는 것 밖에 못찾겠네요. HUMA 보드가 있으면 이런고민 안할텐데요..ㅎㅎ 공구 기다리고 있어요^^ 아직 안하셨죠? 즐거운 한주 보내시구요~~
아 그리고 아두이노랑 연결하지 않고 그냥 컴퓨터 USB에 접속하기만하면 포트가 생기는 건가요? 참 궁금한게 많네요..ㅎㅎ
답글삭제직접 만들어 보니 알겠네요^^.. 이글파일 감사합니다~
답글삭제